고사성어 |
한자 |
유의어 |
뜻 |
금낭가구 |
錦囊佳句 |
구심역혈(嘔心瀝血) |
비단 주머니 안에 있는 아름다운 시구. 아름답고 빼어난 시구를 비유하는 말이다. |
금란지교 |
金蘭之交 |
단금지계(斷金之契), 단금지교(斷金之交), 금석지계(金石之契) |
쇠같이 단단하고 난초처럼 향기로운 사귐. 아주 친한 친구 사이를 이르는 말이다. |
금상첨화 |
錦上添花 |
|
비단 위에 꽃을 더하다. 좋은 것 위에 더욱 좋은 것을 더한다는 뜻이다. |
금석위개 |
金石爲開 |
|
쇠나 돌을 뚫다. 강한 의지로 정성을 다하면 어떤 일이든지 다 해낼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
금선탈각 |
金蟬脫殼 |
|
매미가 허물을 벗듯이 감쪽같이 몸을 빼 도망하는 계략. 진지의 원형을 보존하고 군대가 여전히 주둔하고 있는 것처럼 하면 적이 감히 공격해 오지 못하게 된다. 그런 후에 주력부대를 은밀히 이동시켜 탈출한다. |
금성탕지 |
金城湯池 |
금탕(金湯) |
쇠로 만든 성곽과 끓는 물로 채운 연못. 방어 시설이 철통같이 튼튼한 성을 말한다. |
금슬상화 |
琴瑟相和 |
|
거문고와 비파가 서로 화음을 맞추다. 거문고와 비파가 서로 화음을 맞추는 것처럼 부부 사이가 정답고 화목한 것을 이르는 말이다. |
금오 |
金烏 |
|
금 까마귀. 해를 가리키는 말이다. |
금옥장교 |
金屋藏嬌 |
|
금으로 만든 집에 아교(阿嬌)를 살게 하다. 화려하게 꾸민 집에 사랑하는 부인을 살게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요즘에는 남자들이 부인 외의 다른 여자를 들이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
금의야행 |
錦衣夜行 |
|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가다. 아무런 보람도 없는 일을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금적금왕 |
擒敵擒王 |
|
적을 잡으려면 우두머리부터 잡아야 한다. 적의 중추를 공격하여 적의 세력을 궤멸시키는 계책. |
급과이대 |
及瓜而代 |
과대(瓜代) |
오이(가 익기)를 기다려 바꾸다. 임기가 끝나면 자리를 옮겨 준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며, 때로는 약속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다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
긍경 |
肯䋯 |
|
뼈에 붙은 살(肯)과 힘줄과 뼈가 붙어 있는 곳(綮). 모든 사물의 급소 또는 가장 중요한 곳을 일컫는 말이다. |
기구지업 |
箕裘之業 |
|
키와 갖옷을 만드는 직업.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가업을 말한다. |
기기기닉 |
己饑己溺 |
|
내가 굶주리고 내가 물에 빠진 것과 같다. 다른 사람의 고통을 자신의 고통처럼 여기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
기기애애 |
期期艾艾 |
|
말을 더듬으면서 같은 음을 반복하여 말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
기대취소 |
棄大取小 |
|
큰 것을 버리고 작은 것을 취하다. 이익과 손실의 차이를 헤아리지 못하고 어리석은 생각이나 행동을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기로망양 |
歧路亡羊 |
|
어떤 일을 할 때 정확한 방향을 잡지 못하고 오락가락하다가 실패하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
기린로열노마 |
麒麟老劣駑馬 |
노즉기린불여노마(老則麒麟不如駑馬), 기린지쇠 노마선지(麒麟之衰駑馬先之) |
기린(준마)도 늙으면 노둔한 말보다 못하다. 영웅호걸도 늙으면 보통 사람만도 못함을 이르는 말이다. |
기린아 |
麒麟兒 |
|
기린아. 재주가 남달리 뛰어나고 총명해 촉망받는 젊은이를 가리키는 말이다. |
기사회생 |
起死回生 |
|
죽은 사람을 일으키고 회생시키다. 죽을 위험에 처해 있다가 구출되거나, 역경을 이겨 내고 재기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기산지절 |
箕山之節 |
|
기산(箕山)의 절개. 굳은 신념이나 절개를 이르는 말이다. |
기소불욕 물시어인 |
己所不欲勿施於人 |
|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은 남에게도 하게 해서는 안 된다. 스스로 하고 싶지 않은 일은 다른 사람에게도 시키지 말라는 뜻이다. |
기우 |
杞憂 |
|
안 해도 될 쓸데없는 걱정이나 근심을 이르는 말이다. |
기인우천 |
杞人憂天 |
|
기(杞)나라 사람의 걱정. 안 해도 될 쓸데없는 걱정이나 근심을 이르는 말이다. |
기호난하 |
騎虎難下 |
세성기호(勢成騎虎), 세여기호(勢如騎虎) |
호랑이를 타면 내리기 어렵다. 무슨 일을 하다가 도중에 그만두려 하여도 그만둘 수 없는 상황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
기호지세 |
騎虎之勢 |
|
무슨 일을 하다가 도중에 그만두려 하여도 그만둘 수 없는 상황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
기화가거 |
奇貨可居 |
|
진기한 물건을 쌓아 둘 만하다. 나중에 높은 값에 팔기 위해 진기한 물건을 사서 쌓아 둔다는 뜻으로,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잡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나작굴서 |
羅雀掘鼠 |
나굴태진(羅掘殆盡), 나굴구궁(羅掘俱窮) |
새그물로 참새를 잡고 땅을 파서 쥐를 잡다. 최악의 상황에 이르러 더 이상 어찌할 방법이 없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
낙모지신 |
落帽之辰 |
|
작은 예절에 얽매이지 않는 문인의 소탈하면서도 호방한 풍도를 비유하는 말이다. |
낙백 |
落魄 |
|
넋이 떨어지다. 뜻을 얻지 못하고 실의에 빠져 있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
낙불사촉 |
樂不思蜀 |
|
즐거워서 촉나라 생각이 나지 않는다. 향락을 탐하여 근본을 잊는 것을 비유하여 하는 말이다. |
낙양지귀 |
洛陽紙貴 |
낙양지가귀(洛陽紙價貴), 낙양지가고(洛陽紙價高) |
낙양의 종이 값이 오르다. 글을 쓰거나 책을 펴냈는데 명성을 얻어 이름이 나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
낙이망우 |
樂以忘憂 |
|
어떤 일에 열중하여 노력하는 것을 말한다. |
낙이불음 |
樂而不淫 |
|
기품 있고 정숙한 여자를 말한다. |
낙정하석 |
落井下石 |
|
우물에 빠진 사람에게 돌을 던지다. 어려운 처지에 놓인 사람을 돕지는 않고 오히려 더 힘들게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낙화유수 |
落花流水 |
|
지는 꽃과 흘러가는 물. 힘이나 세력이 쇠퇴해 가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난상가란 |
卵上加卵 |
|
달걀 위에 달걀을 포개다. 원래는 절대로 불가능한 일을 비유하는 말이었는데, 그런 불가능한 일을 포기하지 않고 지극한 정성을 다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
난신적자 |
亂臣賊子 |
|
반란을 일으키는 신하와 패역(悖逆)한 아들. 나라를 어지럽히는 무리나 역적을 가리키는 말이다. |
난의포식 |
暖衣飽食 |
|
따뜻한 옷을 입고 배불리 밥을 먹다. 좋은 옷을 입고 배불리 먹는 넉넉한 생활을 비유하는 말이다. |
난형난제 |
難兄難弟 |
|
형이라 하기도 어렵고, 아우라고 하기도 어렵다. 둘 가운데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상황을 비유하여 쓰는 말이다. |
남가일몽 |
南柯一夢 |
괴안지몽(槐安之夢), 일침남가(一枕南柯), 일침괴안(一枕槐安) |
남쪽 가지 아래의 한바탕의 꿈. 한갓 허망한 꿈 또는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와 영화를 비유하는 말이다. |
남귤북지 |
南橘北枳 |
|
강남에 심은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된다. 강남에 심은 귤을 기후와 풍토가 다른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되듯이 사람도 주위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남비징청 |
攬轡澄淸 |
|
말의 고삐를 잡아 천하를 맑게 하다. 관리가 되어 공명정대한 정치를 펼쳐 어지러운 세상을 바로잡아 보겠다는 큰 뜻을 비유하는 말이다. |
남산가이 |
南山可移 |
|
남산을 옮길 수 있다. 남산은 옮길 수 있을지언정 한번 내린 결정이나 결심은 절대로 바꿀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 말이다. |
남상 |
濫觴 |
|
술잔을 띄울 정도의 적은 물. 배를 띄울 정도의 큰 강물도 그 근원은 술잔을 띄울 정도의 적은 물이었다는 뜻으로, 모든 사물의 시발점을 가리키는 말이다. |
남우충수 |
濫竽充數 |
남취(濫吹), 남우(濫竿), 남곽남취(南郭濫吹) |
소리 나지 않는 피리(피리를 불 줄 모르는 악사)로 숫자를 채우다. 가짜 악사로 머릿수를 채우다. 능력이 없는 자가 능력이 있는 것처럼 가장하거나, 실력이 없는 자가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남원북철 |
南轅北轍 |
|
수레의 끌채는 남을 향하고 바퀴는 북으로 향하다. 남쪽으로 가려고 하면서 수레는 북쪽으로 몬다는 뜻으로, 마음과 행동이 상반되거나 두 가지 사물이 정반대로 나가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남전생옥 |
藍田生玉 |
|
남전에서 옥이 난다. 남전에서 옥이 산출되듯이 명문 집안에서 인재가 나온다는 뜻으로, 뛰어난 부자(父子)를 함께 칭송할 때 쓰는 말이다. |
남주북병 |
南酒北餠 |
|
남쪽은 술, 북쪽은 떡. 옛날 서울의 남쪽 지역에서는 술을 잘 빚고 북쪽 지역에서는 떡을 잘 만들었다는 말이다. |
남취 |
濫吹 |
|
능력이 없는 자가 능력이 있는 것처럼 가장하거나, 실력이 없는 자가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남풍불경 |
南風不競 |
|
남방의 음악은 미약하고 생기가 없다. 경쟁자가 역량이 강하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
낭중지추 |
囊中之錐 |
추처낭중(錐處囊中) |
주머니 속의 송곳. 능력과 재주가 뛰어난 사람은 주머니 속의 송곳이 튀어나오듯 스스로 두각을 나타내게 된다는 말이다. |
낭중취물 |
囊中取物 |
|
주머니 속에서 물건을 가져오다. 주머니 속에 들어 있는 물건을 꺼내 오는 것처럼 아주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물건이나 쉽게 이룰 수 있는 일을 비유해서 하는 말이다. |
낭패위간 |
狼狽爲奸 |
|
낭과 패가 간악한 일을 하다. 흉악한 무리들이 모략을 꾸미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
내우외환 |
內憂外患 |
|
안에 있는 걱정거리와 밖으로부터 오는 환란. |
내조지공 |
內助之功 |
|
내부에서 돕는 현명함. 아내가 집안을 잘 다스림으로써 남편을 돕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노구능해 |
老嫗能解 |
|
늙은 할머니도 이해할 수 있다. 글을 쉽게 쓰는 것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이다. |
노노불휴 |
呶呶不休 |
|
지껄여 댐을 멈추지 않다. 쉬지 않고 지껄여 대는 것을 말한다. |
노마식도 |
老馬識途 |
|
늙은 말이 길을 안다. 아무리 하찮은 것일지라도 저마다 장기나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혹은 경험이 풍부한 사람이 일을 잘 처리한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기도 하다. |
노마십가 |
駑馬十駕 |
|
둔한 말이 열흘 동안 간 거리. 준마가 하루 동안 간 거리를 노둔한 말도 게으름을 피우지 않고 열심히 가면 열흘이면 갈 수 있다는 뜻으로, 아무리 재주가 없는 사람이라도 노력하면 재주가 있는 사람을 따라잡을 수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노발충관 |
怒髮衝冠 |
|
화가 나 머리카락이 곤두서 관을 찌르다. 노여움으로 머리털이 관을 찌른다는 뜻으로, 격노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
노불습유 |
路不拾遺 |
|
길에 떨어진 물건을 줍지 않는다. 법이 잘 지켜져 사람들이 남의 물건을 탐하지 않을 정도로 나라가 태평한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노사불상왕래 |
老死不相往來 |
|
늙어서 죽을 때까지 서로 오가지 않는다. 피차간에 서로 관계가 없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노사일음 |
勞思逸淫 |
|
힘써 일을 하면 좋은 생각을 가지게 되고, 안일한 생활을 하면 방탕해진다. |
노생상담 |
老生常談 |
|
서생이 항상 하는 이야기. 흔히 들어서 알고 있는 상투적인 말을 하는 것을 비유해서 하는 말이다. |
노심초사 |
勞心焦思 |
|
마음으로 애를 쓰며 속을 태우다. |
노안비슬 |
奴顔婢膝 |
|
남자 종의 얼굴과 여자 종의 무릎. 비굴한 표정으로 남에게 아첨하는 것을 비유하여 하는 말이다. |
노어해시 |
魯魚亥豕 |
|
노(魯)를 어(魚)로 잘못 쓰고, 해(亥)를 시(豕)로 잘못 쓰다. 비슷한 글자를 잘못 쓰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
노요지마력사구견인심 |
路遙知馬力 事久見人心 |
일구견인심(日久見人心) |
길이 멀면 말의 힘을 알 수 있고, 일이 오래 걸리면 사람의 마음을 볼 수 있다. |
노우지독 |
老牛舐犢 |
|
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는다.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을 이르는 말이다. |
노이무공 |
勞而無功 |
|
수고롭기만 하고 공이 없음. 온갖 애를 썼으나 아무런 보람도 없다는 말이다. |
노즉기린불여노마 |
老則麒麟不如駑馬 |
|
기린(준마)도 늙으면 노둔한 말보다 못하다. 영웅호걸도 늙으면 보통 사람만도 못함을 이르는 말이다. |
녹림 |
綠林 |
녹림호객(綠林豪客), 녹림호한(綠林好漢) |
형주(荊州)의 녹림산. 도적 떼를 가리키는 말이다. |
녹사수수 |
鹿死誰手 |
|
사슴이 누구 손에 죽을 것인가? 세력이 서로 비슷하여 누가 이길지 모르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이다. |
녹엽성음 |
綠葉成陰 |
|
푸른 잎이 그림자를 만든다. 여자가 출가하여 슬하에 자녀를 두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녹의사자 |
綠衣使者 |
|
푸른 옷의 사자. 초록빛 깃털을 한 앵무새를 말한다. |
논공행상 |
論功行賞 |
|
공로를 의논하여 상을 줌. 공적을 따져 상을 주는 것을 말한다. |
농단 |
壟斷 |
|
높이 솟은 언덕. 가장 좋은 자리를 차지하여 이익이나 권력을 독점하는 것을 비유하여 하는 말이다. |
농병황지 |
弄兵潢池 |
황지농병(潢池弄兵) |
물이 고여 있는 못에서 병기를 가지고 장난하다. 하는 일이 아이들 장난처럼 대수롭지 않거나 몹시 소란스러운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농와지경 |
弄瓦之慶 |
|
딸을 낳은 기쁨을 말한다. |
농장지경 |
弄璋之慶 |
농와지희(弄瓦之喜) |
구슬을 가지고 노는 경사. 아들을 낳은 기쁨을 말한다. |
뇌란물계리 |
賴亂勿計利 |
|
혼란에 의지하여 이익을 계산하지 말라. 혼란을 틈타 자신의 이익을 구하지 말라는 말이다. |
누란지위 |
累卵之危 |
|
달걀을 쌓아 놓은 것처럼 위태롭다. 매우 위급한 상태를 비유하는 말이다. |
능서불택필 |
能書不擇筆 |
|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은 붓을 가리지 않는다. |
능파미보 |
凌波微步 |
|
물결 위를 가볍게 걸어 다닌다. 미인의 가볍고 우아한 걸음걸이를 이르는 말이다. |
니취 |
泥醉 |
|
진흙처럼 취함. 술에 몹시 취해 진흙처럼 흐느적거리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
다기망양 |
多歧亡羊 |
|
갈림길이 많아 양을 잃다. 어떤 일을 할 때 정확한 방향을 잡지 못하고 오락가락하다가 실패하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
다난흥방 |
多難興邦 |
|
힘들고 어려운 일을 많이 겪고 나야 나라가 흥성해진다. 큰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말이다. |
다다익선 |
多多益善 |
|
많을수록 좋다. 많을수록 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말이다. |
다반사 |
茶飯事 |
항다반(恒茶飯), 항다반사(恒茶飯事) |
차를 마시거나 밥을 먹는 일. 일상사나 자주 있는 일을 말한다. |
다사제제 |
多士濟濟 |
제제다사(濟濟多士) |
선비가 많고 성하다. 인재가 많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
단기지교 |
斷機之敎 |
|
학문을 중도에 그만두면 아무 쓸모가 없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단두장군 |
斷頭將軍 |
|
머리가 잘린 장군. 죽어도 항복하지 않는 장군을 이르는 말이다. |
단말마 |
斷末魔 |
|
말마(末魔, 사혈(死穴))가 끊어지다. 인간이 죽을 때 느끼는 최후의 고통을 말한다. |
단사표음 |
簞食瓢飮 |
|
한 대그릇의 밥을 먹고 한 쪽박의 물을 마시다. 아주 소박하고 청빈한 생활을 비유하는 말이다. |
단사호장 |
簞食壺漿 |
|
대그릇에 담은 밥과 병에 담은 음료수. 변변치 않은 음식을 가리키는 말, 또는 소박한 음식을 차려 찾아온 사람을 환영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단장 |
斷腸 |
|
창자가 끊어지다. 창자가 끊어질 정도로 큰 슬픔을 말한다. |
단장취의 |
斷章取義 |
|
문장을 끊어 뜻을 취하다. 문장의 일부를 인용하여 자신의 의사를 표시하거나, 본래의 의미와는 달리 자기 입장에 맞도록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
단표누공 |
簞瓢屢空 |
|
대광주리와 표주박이 자주 비다. 밥그릇이 자주 비었다는 뜻으로, 청빈한 생활을 비유하는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