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
한자 |
유의어 |
뜻 |
섭공호룡 |
葉公好龍 |
|
섭공이 용을 좋아한다. 겉으로는 좋아하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좋아하지 않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
성공자퇴 |
成功者退 |
|
공을 이룬 사람은 물러나야 한다. 공을 이룬 사람들은 자리에 얽매이지 말고 시기를 택해 물러나야 평온한 여생을 보낼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
성동격서 |
聲東擊西 |
|
동쪽에서 소리를 내고 서쪽을 공격한다. 즉, 서쪽을 공격하기 위해 동쪽에서 모사를 꾸며 판단을 흐리게 하여 적을 혼란에 빠뜨린 후 불의에 기습을 하는 계책이다. 이 전략은 아주 민첩하게 운용해야 한다. 동쪽을 치러 가는 척하다가 갑자기 방향을 바꾸어 서쪽으로 진격하여 치고, 재빨리 공격하고 순식간에 떠나야 한다. |
성동격서 |
聲東擊西 |
|
동쪽에서 소리를 내고 서쪽을 치다. 상대방을 교묘하게 속여 공략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중국의 고대 병법인 《삼십육계비본병법(三十六計秘本兵法)》의 6번째 계책이기도 하다. |
성명낭자 |
聲名狼藉 |
|
명성이 이리들의 깔개와 같다. 많은 죄악을 저질러 평판이 매우 나쁘거나, 명성이 무너져 내린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성야소하 패야소하 |
成也蕭何敗也蕭何 |
|
성공하는 것도 소하(蕭何)에게 달려 있고, 실패하는 것도 소하에게 달려 있다. 일의 성패가 한 사람의 손에 달려 있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성중형외 |
誠中形外 |
|
안에 있는 진실함은 겉으로 드러난다. 마음속에 품은 순수한 마음은 저절로 밖으로 드러난다는 말이다. |
성하지맹 |
城下之盟 |
|
성 아래의 맹약. 힘에 굴복하여 굴욕적인 조약을 맺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성호사서 |
城狐社鼠 |
|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 왕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권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
세사부운하족문 |
世事浮雲何足問 |
|
세상일이란 뜬구름과 같은 것이니 어찌 묻기에 족하겠는가?(물을 가치가 있겠는가?) 인정의 무상함과 삶의 덧없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
세세불철 |
世世不輟 |
|
대대로 (제사가)끊이지 않는다. 후손들이 조상을 잘 받들어 모시는 것을 말한다. |
세월부대인 |
歲月不待人 |
|
세월은 사람을 기다리지 않는다. 세월을 아끼라는 말이다. |
세이공청 |
洗耳恭聽 |
영천세이(潁川洗耳) |
귀를 씻고 공손하게 듣다. 다른 사람의 말을 경청하는 것을 말한다. |
세태염량 |
世態炎凉 |
|
더웠다가 서늘하여지는 세태. 권세가 있으면 아첨하고, 몰락하면 냉대하는 세상의 인심을 이르는 말이다. |
소강 |
小康 |
|
조금 편안함. 어떤 일이 특별한 진척이 없이 겨우 안정된 상태나 별 변동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
소거백마 |
素車白馬 |
백마소거(白馬素車) |
흰 수레와 흰말. 고대 중국에서 흉사나 상사를 당하였을 때 사용하던 거마. 친구의 죽음을 애도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소견다괴 |
少見多怪 |
|
본 것이 적으면 신기한 일이 많다. 견문이 좁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
소국과민 |
小國寡民 |
|
작은 나라 적은 백성. 노자(老子)가 이야기한 가장 이상적인 나라 형태를 말한다. |
소규조수 |
蕭規曹隨 |
|
소하(蕭何)가 법을 만들고 조참(曹參)은 그대로 따랐다. 예전부터 쓰던 제도를 그대로 따르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소년이로학난성 |
少年易老學難成 |
|
젊은이는 금방 늙는데 학문은 이루기 어렵다. 세월은 빠르고 일을 이루기는 어렵다는 것을 말한다. |
소리장도 |
笑裏藏刀 |
|
웃음 속에 칼날을 품다. 적으로 하여금 우리를 믿도록 안심시킨 후, 적의 긴장이 풀어졌을 때 신속히 일을 도모한다. 이 전략은 음험하고 악랄하며 신의를 완전히 저버리는 비인간적인 전략이다. |
소리장도 |
笑裏藏刀 |
|
웃음 속에 칼을 숨기다. 겉으로는 웃으면서 속으로는 음험한 생각을 품고 남을 해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고대 중국의 병법인 《삼십육계비본병법(三十六計秘本兵法)》의 10번째 계책이기도 하다. |
소상팔경 |
瀟湘八景 |
|
소수(瀟水)와 상강(湘江)의 8가지 경치. 호남성(湖南省) 동정호(洞庭湖) 남쪽의 소수와 상강이 합류하는 곳에 있는 대표적인 8가지 아름다운 경치를 말한다. 소수와 상강은 모두 동정호로 흘러 들어간다. |
소시료료 |
小時了了 |
|
어릴 때부터 똑똑하다. 본래는 어릴 때부터 총명하다는 말이었으나, 후에 어릴 때 총명하다고 해서 자라서 꼭 잘되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로 쓰이게 되었다. |
소심익익 |
小心翼翼 |
|
마음을 세심하게 쓰고 조심하다. 매사에 조심하고 삼간다는 말이다. |
소아변일 |
小兒辯日 |
양소아변일(兩小兒辯日) |
어린아이가 해를 가지고 말싸움하다. 서로 자기 입장이나 의견을 내세우지만 뾰족한 해결 방법이 없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소인한거위불선 |
小人閒居爲不善 |
|
소인은 한가롭게 머물 때는 옳지 못한 일을 한다. |
소향무적 |
所向無敵 |
|
나아가는 곳마다 적이 없다. 가는 곳마다 당할 자가 없는 것을 말한다. |
소훼란파 |
巢毁卵破 |
|
보금자리가 부서지면 알도 깨진다. 조직이나 집단이 무너지면 그 구성원들도 피해를 입게 된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속수지례 |
束脩之禮 |
|
육포 묶음의 예절. 제자가 되려고 스승을 처음 뵐 때에 드리는 예물을 말한다. 고대에는 스승에게 가르침을 청할 때 열 조각의 육포를 묶어 드렸다. |
속지고각 |
束之高閣 |
|
물건을 시렁에 꽁꽁 묶어 두다. 어떤 물건을 방치해 둔 채 사용하지 않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之는 대명사로, ‘그 사람들’을 가리킨다. |
손방투지 |
孫龐鬪智 |
|
손빈(孫臏)과 방연(龐涓)이 지혜를 다투다. 대등한 재능을 지닌 사람들이 지모를 다하여 경쟁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송도계원 |
松都契員 |
|
송도계(松都契)의 일원. 하찮은 지위나 세력을 믿고 남을 멸시하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
송양지인 |
宋襄之仁 |
|
송(宋)나라 양공(襄公)의 인(仁). 쓸데없는 인정을 베풀거나 불필요한 동정이나 배려를 하는 어리석은 행동을 비유하는 말이다. |
수가재주 역가복주 |
水可載舟亦可覆舟 |
|
물은 배를 띄울 수도 있지만 배를 뒤집을 수도 있다. 본래는 민의가 정권을 세워 주기도 하고 몰락시키기도 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는데, 지금은 주로 어떤 일에 이로운 것이 때로는 해로운 것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된다. |
수구지정 |
首丘之情 |
호사수구(狐死首丘) |
머리를 구릉을 향해 두는 마음. 여우는 죽을 때 여우 굴이 있던 구릉을 향해 머리를 둔다. 자신의 근본을 잊지 않거나 혹은 죽어서라도 고향 땅에 묻히고 싶어하는 마음을 비유한 말이다. |
수구초심 |
首丘初心 |
|
머리를 구릉을 향해 두는 마음. 여우는 죽을 때 여우 굴이 있던 구릉을 향해 머리를 둔다. 자신의 근본을 잊지 않거나 혹은 죽어서라도 고향 땅에 묻히고 싶어하는 마음을 비유한 말이다. |
수도동귀 |
殊途同歸 |
|
길은 다르지만 이르는 곳이 같다. 길은 다르지만 이르는 목적지는 같거나, 방법은 달라도 결과는 같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수도호손산 |
樹倒猢猻散 |
|
나무가 넘어지면 (그 나무에서 살던)원숭이들이 흩어진다. 우두머리가 망하면 그 수하들도 덩달아 낭패를 보게 된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수두상기 |
垂頭喪氣 |
|
머리를 수그리고 기운을 잃다. 의기소침한 모습을 비유하는 말이다. |
수락석출 |
水落石出 |
|
물이 빠져 바닥의 돌이 드러나다. 원래는 물가의 겨울 경치를 일컫는 말이었는데, 후에는 어떤 사건의 진상이 명백하게 드러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
수불석권 |
手不釋卷 |
|
손에서 책을 놓지 않다. 항상 손에 책을 들고 부지런히 공부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
수상개화 |
樹上開花 |
|
나무에 꽃을 피우다. 원래 꽃이 없는 나무에 인위적으로 꽃을 만들어 붙이는 것으로, 허위로 진영을 부풀려 배치함으로써 실제보다 세력이 강대하게 보이게 만드는 계책이다. |
수서양단 |
首鼠兩端 |
|
쥐가 머리를 내밀고 양쪽 끝에서 망설이다. 구멍 속에서 머리를 내민 쥐가 나갈까 말까 망설인다는 뜻으로, 주저하면서 결단을 내리지 못하거나, 어느 한쪽으로 붙지 않고 양다리를 걸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수석침류 |
潄石枕流 |
|
돌로 양치질하고 흐르는 물을 베개 삼는다. 실수를 인정하려 들지 않거나, 남에게 지지 않으려고 억지를 부리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수식변폭 |
修飾邊幅 |
|
가장자리를 꾸미다. 허영에 빠져 겉치레에만 신경을 쓰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수심화열 |
水深火熱 |
구민수화(救民水火), 증분구익(拯焚救溺) |
물은 깊고 불은 뜨겁다. 도탄에 빠진 백성들의 어려운 처지를 비유하는 말이다. |
수어지교 |
水魚之交 |
|
물과 고기의 사귐. 고기가 물을 떠나서는 잠시도 살 수 없는 것과 같이 아주 밀접한 관계를 비유하는 말이다. |
수여쾌오 |
羞與噲伍 |
|
번쾌(樊噲)와 한 무리가 된 것을 수치스럽게 여기다. 용렬한 사람과 어울리거나 동등한 대우를 받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긴다는 말이다. |
수욕다 |
壽辱多 |
|
오래 살면 욕된 일이 많다. |
수욕정이풍부지 |
樹欲靜而風不止 |
풍수지탄(風樹之嘆), 풍목지비(風木之悲) |
나무는 조용하고 싶지만 바람이 그치지 않는다. 효도를 다하지 못한 자식의 슬픔을 비유하는 말이다. |
수자부족여모 |
竪子不足與謀 |
|
더벅머리 아이와 더불어 일을 꾀할 수가 없다. 어리고 경험이 부족한 사람과는 큰일을 도모할 수가 없다는 말이다. |
수주대토 |
守株待兎 |
|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리다. 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어 구습과 전례만 고집하거나, 노력하지 않고 요행만을 기대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수주탄작 |
隨珠彈雀 |
|
수후(隨侯)의 명주(明珠)로 참새를 쏘다. 작은 것을 탐내다 큰 것을 잃거나,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많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
수지오지자웅 |
誰知烏之雌雄 |
|
누가 까마귀의 암수를 구별하겠는가. 까마귀의 암수를 구별하기 어려운 것처럼 시비나 선악 등을 분명하게 가리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이다. |
수청무대어 |
水淸無大魚 |
수지청즉무어(水至淸則無魚) |
물이 맑으면 큰 물고기가 없다. 성격이 너무 결벽하고 강직하거나 몸가짐이 너무 바르면 사람이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수총약경 |
受寵若驚 |
|
총애를 받으면 놀란 것같이 하다. 누군가로부터 총애를 받거나 인정을 받게 되면 놀라워하면서 마음 한구석에서는 불안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
수화불상용 |
水火不相容 |
|
물과 불은 서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두 사물이 서로 융합할 수 없거나, 사람들 사이에 의견이 다르거나 화목하지 못해 서로 화합할 수 없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숙능생교 |
熟能生巧 |
|
능숙함이 기교를 낳을 수 있다. 능숙해지면 기교가 생긴다. 오랜 기간의 수련을 거쳐야 뛰어난 기교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는 말이다. |
숙흥야매 |
夙興夜寐 |
|
아침 일찍 일어나고 밤늦게 잠자다. 책임을 다하기 위해 애쓰고 노력하는 모습을 비유하는 말이다. |
순망치한 |
脣亡齒寒 |
|
입술이 없어지면 이가 시리다.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순수견양 |
順手牽羊 |
|
손에 잡히는 대로 양을 슬쩍 끌고 가는 계책. 조그마한 틈이라도 생기면 놓치지 말고 이용해야 하고, 보잘것없는 이익이라도 생기면 있는 힘을 다해 손에 넣어야 한다. 적의 조그마한 실수를 최대로 이용해야 한다. |
순치보거 |
脣齒輔車 |
|
입술과 이, 그리고 광대뼈와 잇몸의 관계. 서로 의지하는 밀접한 관계를 비유하는 말이다. |
술이부작 |
述而不作 |
|
기술하기만 할 뿐 지어내지 않는다. 옛 성인(聖人)의 말을 전하고 자기의 설을 지어내지 않는 것을 말한다. |
습인아혜 |
拾人牙慧 |
|
남의 아혜(牙慧)를 줍다. 아혜는 아후혜(牙後慧)라고도 하며, 다른 사람이 하고 흘린 말을 뜻한다. 남의 말이나 글 또는 주장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승거목단 수적석천 |
繩鋸木斷水滴石穿 |
|
노끈으로 나무를 자르고, 물방울이 돌을 뚫다. 작은 노력이라도 끊임없이 계속하면 큰일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승영구구 |
蠅營狗苟 |
구구승영(狗苟蠅營) |
파리처럼 (앵앵거리며)날아다니고 개처럼 구차하다. 수단을 가리지 않고 명리를 추구하는 파렴치한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
승패병가지상사 |
勝敗兵家之常事 |
|
이기기도 하고 지기도 하는 것은 병가에서 항상 있는 일이다. 싸움에서 이기기도 하고 지기도 하는 것처럼 일에도 성공과 실패가 있으므로, 승패에 크게 개의하지 말고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
승풍파랑 |
乘風破浪 |
|
바람을 타고 물결을 헤쳐 나가다. 원대한 포부를 비유하는 말이다. |
시가인 숙불가인 |
是可忍孰不可忍 |
|
이것을 참는다면 무슨 일인들 못 참겠는가. 절대로 용인할 수 없거나 도저히 참을 수 없는 일을 비유하는 말이다. |
시랑당도 |
豺狼當道 |
|
승냥이와 이리가 길을 막다. 사악한 사람들이 권력을 잡고 횡포를 부리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시언지 가영언 |
詩言志歌永言 |
|
시란 마음속에 있는 뜻을 말하는 것이고, 노래는 말을 길게 읊조리는(長吟) 것이다. |
시우지화 |
時雨之化 |
|
때맞추어 내리는 비의 교화. 초목이 때맞추어 내리는 비에 힘입어 자라는 것처럼 백성들에게 고루 미치는 은혜로운 교화를 비유하는 말이다. |
시위소찬 |
尸位素餐 |
|
시동(尸童)의 자리에서 공짜 밥을 먹다. 벼슬아치가 하는 일 없이 자리만 차지하고 국록을 받아먹는 것, 자기 능력이나 분수에 맞지 않는 높은 자리에 앉아 하는 일 없이 놀고먹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시유사리 |
詩有四離 |
|
시에는 벗어나야 할 네 가지가 있다. 시를 지을 때 피해야 할 네 가지 사항을 말한다. |
시유사불 |
詩有四不 |
|
시에는 하여서는 안 될 네 가지가 있다. 시를 지을 때 범하여서는 안 될 네 가지 금지 사항을 말한다. |
시유사심 |
詩有四深 |
|
시에는 네 가지 깊이가 있다. 시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요구되는 네 가지 깊이 있는 수련을 말한다. |
시자조슬 |
視子蚤蝨 |
|
그대가 벼룩이나 이로 보이오. 큰 인물을 본 후 작은 인물을 보면 벼룩이나 이처럼 작아 보인다는 말로, 자신의 지위가 위태로워질까 봐, 혹은 자신의 영달에 눈이 멀어 훌륭한 인물을 발탁하지 않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시자지지소지야 |
詩者志之所之也 |
|
시란 뜻이 가는 곳이다. 시란 정서를 표현한 것이라는 말이다. |
시작용자 |
始作俑者 |
|
처음으로 나무 인형을 만든 사람. 좋지 않은 전례를 만든 사람이나 그러한 경우를 비유하는 말이다. |
시종불투 |
始終不渝 |
|
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이 없다. 절개가 변치 않는 것을 말한다. |
식마육 불음주 상인 |
食馬肉不飮酒傷人 |
|
말고기를 먹고 술을 마시지 않으면 건강을 해치게 된다. 덕으로써 다른 사람에게 너그럽게 대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식소사번 |
食少事煩 |
|
먹는 것은 적고 일은 번거롭다. 즉, 몸을 돌보지 않고 바쁘게 일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식언이비 |
食言而肥 |
|
말(言)을 먹어 살이 찌다. 신의를 지키지 않고 말을 번복하거나 약속을 지키지 않고 거짓말을 일삼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식우지기 |
食牛之氣 |
|
소를 잡아먹을 만한 기상. 기백이 넘쳐흐르는 모습, 혹은 어려서부터 크게 될 재목임을 비유하는 말이다. |
식자우환 |
識字憂患 |
|
글자를 아는 것이 오히려 근심이 된다. 너무 많이 알기 때문에 쓸데없는 걱정도 그만큼 많다는 말이다. |
식지동 |
食指動 |
|
식지가 움직이다. 음식이나 사물에 대한 욕심을 갖거나 야심을 품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신구개하 |
信口開河 |
|
입에서 나오는 대로 함부로 말하다. 생각 없이 마음대로 지껄이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신구자황 |
信口雌黃 |
|
입에서 나오는 대로 말하다. 입에서 나오는 대로 함부로 말하거나, 남의 글 등에 대하여 함부로 비평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신목여전 천청여뢰 |
神目如電天聽如雷 |
|
귀신의 눈은 번개와 같고, 하늘이 듣는 것은 우레와 같다. 아무도 보거나 듣지 않는다고 해도 양심에 어긋나는 일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신서단단 |
信誓旦旦 |
|
진실한 맹세. ‘단단(旦旦)’은 ‘진실하다, 간절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신언서판 |
身言書判 |
|
풍채와 언변과 문장력과 판단력. 선비가 지녀야 할 네 가지 미덕을 말한다. 이는 원래 당(唐)나라 때 관리를 선발하던 기준이었다. |
신종추원 |
愼終追遠 |
|
부모의 장례를 엄숙히 하고 조상의 제사를 정성스레 올리다. |
신체발부 수지부모 |
身體髮膚受之父母 |
|
신체와 머리카락과 피부는 모두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것이다.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몸을 소중히 여기는 것이 효도의 시작이라는 말이다. 之는 대명사로, 신체발부를 가리킨다. |
신출귀몰 |
神出鬼沒 |
|
귀신처럼 나타났다 사라지다. 행동이 신속하고 변화가 심하여 예측할 수 없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신풍절비옹 |
新豊折臂翁 |
|
신풍(新豊) 땅에 사는 팔이 부러진 늙은이. 전쟁으로 고통받는 백성들의 험난한 삶을 비유하는 말이다. |
신후지간 |
身後之諫 |
|
죽은 뒤의 간언. 죽은 뒤에도 군주의 잘못을 바로잡기 위하여 간언한다는 것으로, 죽은 뒤에도 왕과 백성을 염려하는 자세를 비유하는 말이다. |
실부의린 |
失斧疑鄰 |
|
도끼를 잃어버리자 이웃을 의심한다. 의심하는 마음이 들면 평소에 아무렇지도 않던 일에 대해서까지도 의심이 든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실사구시 |
實事求是 |
|
실제에 근거하여 사실을 구하다. 사실에 토대를 두고 진리를 탐구하는 태도, 또는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 · 객관적인 태도를 말한다. |
실언 |
失言 |
|
말을 잃다. 말을 실수하는 것을 말한다. |
심광체반 |
心廣體胖 |
|
마음이 넓어지고(마음이 편하니) 몸도 불어난다는 말이다. |
심복지환 |
心腹之患 |
복심지질(腹心之疾) |
가슴이나 배에 생긴 병. 쉽게 치료하기 어려운 질병 또는 해결하기 어려운 근심이나 병폐를 비유하는 말이다. |
심부재언 시이불견 |
心不在焉視而不見 |
|
마음에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는다. 하고자 하는 마음이 없으면 어떤 일을 해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말이다. |
심원의마 |
心猿意馬 |
|
마음은 원숭이같이 날뛰고 생각은 말같이 사방을 뛰어다닌다. 마음이 안정되지 않아 생각을 집중할 수 없다는 말이다. |
심장약허 |
深藏若虛 |
|
지혜로운 사람은 학식을 자랑하지 않는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심허 |
心許 |
계찰계검(季札繫劍), 계찰괘검(季札掛劍) |
마음속으로 허락하다. 말로 약속하지는 않았더라도 마음속으로 허락한 일은 꼭 지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심효진상 |
甚囂塵上 |
|
몹시 시끄럽고 먼지가 일어나다. 전투 준비에 분주한 병영의 모습을 형용한 말로, 의논이나 여론이 분분한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