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영 – 위로 시작하는 고사성어


고사성어 한자 유의어
영계기삼락 榮啓期三樂 영계기(榮啓期)의 세 가지 즐거움. 자족하며 살아가는 인생의 즐거움을 비유하는 말이다.
영과후진 盈科後進 물은 구덩이를 만나면 그 구덩이를 채운 후에야 흘러간다. 학문을 할 때는 헛된 명성을 추구하지 않고 차근차근 기초를 견실하게 닦아야 한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영불리신 影不離身 외영오적(畏影惡跡), 외영이주(畏影而走) 그림자는 몸을 떠나지 않는다. 자신의 허물이나 어떤 일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엉뚱한 곳에서 해결책을 찾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영서연열 郢書燕說 영(郢) 사람이 쓴 편지에 연(燕)나라가 기뻐하다. 원래의 뜻을 곡해하여 와전시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영영대풍 泱泱大風 웅대한 풍모. 기백이 넘치는 대국의 풍모를 비유하는 말이다. 영영(泱泱)은 ‘웅대한 모양’을 말한다.
예미도중 曳尾塗中 꼬리를 진흙 속에 묻고 끌다. 부귀영화를 누리며 속박을 당하는 것보다는 가난하더라도 자기 뜻대로 자유롭게 사는 것이 좋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오관참육장 五關斬六將 과오관참육장(過五關斬六將) 다섯 관문을 지나며 여섯 장수를 베다. 겹겹이 쌓인 난관을 돌파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오두초미 吳頭楚尾 머리는 오(吳)나라, 꼬리는 초(楚)나라. 두 지역이 아주 가까운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오리무중 五里霧中 오리 안이 짙은 안개 속에 있다. 어떤 일의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거나 일의 갈피를 잡기 어려운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오매불망 寤寐不忘 자나 깨나 잊지 못하다.
오부홍교 誤付洪喬 홍교지오(洪喬之誤), 홍교지실(洪喬之失), 부제홍교(付諸洪喬), 홍교척수(洪喬擲水) 홍교에게 잘못 부탁하다. 전해 달라고 남에게 부탁한 편지나 물건 등이 유실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오사필의 吾事畢矣 나의 일은 끝났다. 자신의 역할을 다했다는 말이다.
오서지기 鼯鼠之技 오서기궁(梧鼠技窮) 날다람쥐의 재주. 재주는 많지만 잘하는 것은 하나도 없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오설상재 吾舌尙在 비록 몸이 망가졌어도 혀만 살아 있으면 뜻을 펼 수 있다는 말이다. 부족한 것이 많더라도 한 가지라도 뚜렷한 재능을 가지고 있으면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오손공주 烏孫公主 오손(烏孫)의 공주. 정략결혼의 희생양이 된 슬픈 운명의 여인을 비유하는 말이다.
오십보소백보 五十步笑百步 오십 보를 도망한 사람이 백 보를 도망한 사람을 비웃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같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오우천월 吳牛喘月 오(吳)나라의 소는 달만 보아도 숨을 헐떡인다. 어떤 일에 한 번 혼이 나면 비슷한 것만 보아도 미리 겁을 먹는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오월동주 吳越同舟 오(吳)나라 사람과 월(越)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타다. 서로 원수지간이라도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서로 협력한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오일경조 五日京兆 닷새 경조윤(京兆尹). 임직 기간이 너무 짧거나, 아무 때나 직위를 떠나 버리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오장군 烏將軍 검은 장군. 돼지를 가리키는 말이다.
오조사정 烏鳥私情 까마귀의 사사로운 정. 까마귀가 자라면 그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먹이듯 부모를 모시는 지극한 효성을 비유하는 말이다.
오하아몽 吳下阿蒙 오(吳) 지역(시골구석)의 여몽(呂夢). 학식이 짧은 사람이나 진보가 전혀 없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오합지졸 烏合之卒 까마귀를 모아 놓은(것 같은) 병사. 까마귀 떼와 같이 조직도 안 되고 훈련도 없이 모인 무리라는 뜻으로, 어중이떠중이를 비유하는 말이다.
옥석구분 玉石俱焚 옥과 돌이 함께 불타다. 선과 악이 구분되지 않고 함께 멸망을 당하고, 좋은 것과 나쁜 것이 함께 희생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옥석혼효 玉石混淆 옥과 돌이 어지럽게 뒤섞여 있다는 뜻으로, 좋은 것과 나쁜 것이 뒤섞여서 좋고 나쁨을 구분하지 못할 때 쓰이는 말이다.
옥야천리 沃野千里 비옥한 들판이 천 리에 달하다.
옥하가옥 屋下架屋 지붕 밑에 또 지붕을 만들다. 앞 시대 사람이 이미 해 놓은 일을 그대로 모방해서 새로운 것이 없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온고지신 溫故知新 옛것을 익히고 새것을 알다.
옹치봉후 雍齒封侯 옹치(雍齒)를 제후에 봉하다. 가장 미워하는 사람에게 요직을 맡겨 여러 사람들의 불만을 무마시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와각지쟁 蝸角之爭 달팽이 뿔에서 다툼. 세상일이란 달팽이 뿔 위에서 싸우는 것과 같이 사소한 다툼에 불과하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와신상담 臥薪嘗膽 땔나무 위에 눕고, 쓸개를 맛보다. 원수를 갚기 위해 분발하는 것이나, 큰 뜻을 이루기 위해 분투하는 모습을 비유하는 말이다.
와우각상지쟁 蝸牛角上之爭 달팽이 뿔에서 다툼. 세상일이란 달팽이 뿔 위에서 싸우는 것과 같이 사소한 다툼에 불과하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완낭수삽 阮囊羞澁 완씨의 주머니가 부끄러워하다. 살림이 매우 궁색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완물상지 玩物喪志 물건을 가지고 놀면 뜻을 잃게 된다. 물질에 탐닉하다 큰 뜻이나 자신이 세운 목표를 잃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완벽 完璧 물건을 조금도 상하게 하지 않고 원래의 주인에게 온전하게 돌려준다는 뜻이다.
완벽귀조 完璧歸趙 벽옥이 온전히 조나라로 돌아가다. 물건을 조금도 상하게 하지 않고 원래의 주인에게 온전하게 돌려준다는 뜻이다.
완석점두 頑石點頭 딱딱한 돌이 고개를 끄덕이다. 돌들도 감명을 받아 머리를 끄덕인다는 뜻으로, 하는 말에 감화력이 있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완화자분 玩火自焚 불을 가지고 놀다가 스스로를 태우다. 무모한 일로 남을 해치려다 결국 자신이 해를 입게 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왕고좌우이언타 王顧左右而言他 왕이 좌우를 돌아보며 다른 말을 하다. 곤란한 문제에 부딪혀 딴전을 피우며 말꼬리를 돌리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왕자불간 내자가추 往者不諫來者可追 지나간 일은 되돌릴 수 없지만 앞으로의 일은 좇아갈 수 있다는 뜻이다.
왕좌지재 王佐之才 왕을 도울 만한 재능. 왕을 보좌하여 큰 공을 세울 능력을 가진 인재를 비유하는 말이다.
왜자간희 矮子看戱 난쟁이가 연극을 보다. 주관이 없이 남을 따라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외불피구 내불피친 外不避仇內不避親 외거불피구 내거불피친(外擧不避仇內擧不避親) 밖으로는 원수를 피하지 않고, 안으로는 친인척을 피하지 않는다. 인재를 발탁하거나 추천할 때 사사로움을 앞세우지 않고 능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외수외미 畏首畏尾 머리가 어찌 될까 두려워하고 꼬리가 어찌 될까 두려워하다. 너무 소심하여 벌벌 떨며 일을 못 하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요고순목 堯鼓舜木 요(堯)임금의 북과 순(舜)임금의 나무. 다른 사람의 충고를 잘 받아들이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요동지시 遼東之豕 요동의 돼지. 남이 보면 별로 대단한 것도 아닌 것을 자랑하거나, 하찮은 공을 내세우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요량삼일 繞梁三日 여음요량(餘音繞梁) (노랫소리가)대들보를 여러 날 두르다. 아름다운 노랫소리를 비유하는 말이다.
요령부득 要領不得 요령을 얻지 못하다. 핵심이나 요점을 파악하거나 터득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요산요수 樂山樂水 산을 좋아하고 물을 좋아하다.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요원지화 爎原之火 들판을 태우는 불. 세력이 걷잡을 수 없이 커져 당할 수 없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요조숙녀 窈窕淑女 요조숙녀. 기품 있고 정숙한 여자를 말한다.
욕개미창 欲蓋彌彰 덮으려고 할수록 더욱 드러나다. 잘못을 감추려 할수록 오히려 더욱 드러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욕금고종 欲擒故縱 사로잡으려면 짐짓 풀어 주어라. 큰 것을 얻기 위해 작은 것을 풀어 주는 계책.
욕속부달 欲速不達 빨리하려고 하면 이룰 수가 없다. 너무 조급하게 서두르면 오히려 일을 그르치게 된다는 말이다.
용관규천 用管窺天 대롱으로 하늘을 쳐다보다. 소견이 좁은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용두사미 龍頭蛇尾 용 머리에 뱀 꼬리. 시작은 좋았으나 갈수록 나빠지는 것이나, 시작은 거창했지만 끝은 보잘것없게 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용사지세 龍蛇之歲 세재용사(歲在龍蛇) 용의 해와 뱀의 해. 수명이 다하여 죽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용산낙모 龍山落帽 용산(龍山)에서 모자를 떨어뜨리다. 작은 예절에 얽매이지 않는 문인의 소탈하면서도 호방한 풍도를 비유하는 말이다.
우각괘서 牛角掛書 소뿔에 책을 걸다. 시간을 아껴 학문을 닦는 데 힘쓰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우공이산 愚公移山 우공(愚公)이 산을 옮기다. 어떠한 어려움도 굳센 의지로 밀고 나가면 극복할 수 있으며, 하고자 하는 마음만 먹으면 못 할 일이 없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우귀사신 牛鬼蛇神 사신우귀蛇神牛鬼 우귀(牛鬼)와 사신(蛇神). 나쁜 일을 일삼는 불한당을 말한다.
우도할계 牛刀割鷄 닭 잡는 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쓰겠는가?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않게 큰 대책을 쓰거나, 능력이 큰 인물을 작은 일에 쓰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우맹의관 優孟衣冠 배우 맹(孟)의 의관(분장). 다른 사람으로 분장을 하거나 다른 사람을 흉내 내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그럴듯하게 꾸며서 진짜인 것처럼 행세하는 것을 가리킨다. 또는 문학예술 작품 등에서 남의 것을 교묘하게 모방하여 예술성이나 창조성이 없는 것을 비유하기도 한다.
우사풍생 遇事風生 일을 만나면 바람이 인다. 사사건건 시비를 일으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우수마발 牛溲馬勃 질경이(또는 소의 오줌)와 먼지버섯(약재). 가치 없고 쓸모없는 물건을 비유하는 데 쓰이거나, 비천하거나 흔하지만 때로는 유용하게 쓰이는 재료나 약재를 비유하는 말로도 쓰인다.
우유구화 迂儒救火 물정에 어두운 선비가 불을 끄다. 급한 상황에서도 원칙만 따지다 일을 그르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우익이성 羽翼已成 새의 날개와 깃이 이미 이루어졌다. 능력이나 여건이 충분히 성숙해진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우정팽계 牛鼎烹鷄 소 가마솥으로 닭을 삶다. 소를 삶는 큰 가마솥은 닭을 삶는 데에는 알맞지 않다는 뜻으로, 큰 인물을 작은 일에 쓰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우직지계 迂直之計 돌아가는 계책과 곧게 가는 계책. 가까운 길을 곧바로만 가는 것이 아니라 돌아갈 줄도 알아야 한다는 뜻이다.
우화등선 羽化登仙 날개가 돋아 신선이 되어 하늘에 오르다. 번잡한 세상일을 떠나 마음이 평온하고 즐거운 상태, 혹은 술이 거나하게 취하여 기분이 좋은 상태를 이르는 말이다.
운근성풍 運斤成風 장석운근(匠石運斤), 영장운부초(匠運斧) 도끼를 움직여 바람을 일으키다. 최고의 경지에 도달한 빼어난 기술을 비유하는 말이다.
운용지묘재일심 運用之妙在一心 운용의 묘는 마음에 달려 있다.
운우지락 雲雨之樂 남녀 간의 육체적인 관계를 비유하는 말이다.
운주유악 運籌帷幄 장막 안에서 계책을 세워 운용하다. 전술이나 전략을 세우거나 계책을 짜는 것을 말한다.
웅장여어 熊掌與魚 어여웅장(魚與熊掌) 곰 발바닥과 물고기. 두 가지를 겸할 수 없는 경우나, 두 가지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기 어려운 경우를 비유하는 말이다.
원교근공 遠交近攻 먼 나라와는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격하는 계책. 멀리 있는 적보다는 가까이에 있는 적을 공격하는 것이 유리하다. 멀리 있는 적과는 뜻이 맞지 않더라도 잠시 연합하라.
원교근공 遠交近攻 먼 나라와는 사귀고 가까운 나라는 친다.
원수불구근화 遠水不救近火 먼 곳의 물로 가까운 곳의 불을 끌 수 없다. 멀리 떨어져 있으면 도움이 절실히 필요할 때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원앙계 鴛鴦契 원앙의 맺음. 부부 사이에 사랑이 깊은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원철골수 怨徹骨髓 원한이 골수에까지 사무치다. 원한이 잊을 수 없을 정도로 깊은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원형이정 元亨利貞 《주역(周易) 〈건괘(乾卦)〉》에 나오는 사덕(四德)을 말한다.
월단평 月旦評 매월 첫째 날의 평. 인물에 대한 평을 이르는 말이다.
월락오제상만천 月落烏啼霜滿天 달 지고 까마귀 울어 대는데 하늘엔 서리가 가득 내린다. 늦가을의 정경을 묘사한 시구이다.
월명성희 月明星稀 달이 밝으니 별이 드물다. 어진 사람이 나오면 소인들은 숨어 버린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월조대포 越俎代庖 제기(祭器)를 뛰어넘어 요리사를 대신하다.(월(越)은 뛰어넘다, 조(俎)는 고대에 제사를 지낼 때 쓰는 제기 적대(炙臺), 포(庖)는 요리사를 뜻한다.) 제사를 주재하는 사람이 제기를 뛰어넘어 요리사를 대신하여 제사상을 차리는 것을 말하며, 자기 업무 범위를 벗어나 남의 일에 간섭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월하노인 月下老人 월노, 月老, 월로 달빛 아래의 노인. 중매쟁이를 말한다.
월하빙인 月下氷人 달빛 아래의 노인과 얼음 위에 있는 사람. 중매쟁이를 말한다.
위군난 위신불이 爲君難爲臣不易 왕 노릇 하기도 어렵고 신하 노릇 하기도 쉽지 않다. 군림하기도 어렵지만 보좌하기도 쉽지 않다는 뜻으로, 자기가 맡은 본분을 잘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위방불입 危邦不入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위소회 葦巢悔 갈대 위에 지은 집에 대한 후회. 학문을 하는 자는 확고한 주관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위약조로 危若朝露 조로지위(朝露之危) 위태로움이 아침 이슬과 같다. 아주 큰 위험에 처해 있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위여누란 危如累卵 누란지위(累卵之危) 달걀을 쌓아 놓은 것처럼 위태롭다. 매우 위급한 상태를 비유하는 말이다.
위연구어 爲淵驅魚 연못을 위해 물고기를 몰다. 물고기를 깊은 못에 몰아넣다. 자기편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을 적의 편으로 몰아 주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위위구조 圍魏救趙 적을 분산시켜 쳐부수는 계책. 혹은 적의 허점을 공격하는 계책. 적을 공격할 때에는 밀집한 적보다 흩어져 있는 적을 공격하는 것이 쉽다.
위위구조 圍魏救趙 위(魏)나라를 포위하여 조(趙)나라를 구하다. 정면충돌을 피하고 상대의 허점을 공략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고대 중국의 병법인 《삼십육계비본병법(三十六計秘本兵法)》의 2번째 계책이기도 하다.
위인설항 爲人說項 대신하여 항사(項斯)에 대해 말해주다. 남을 칭찬하거나 남에게 부탁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위인작가 爲人作嫁 다른 사람을 위해 혼수를 만들다. 공연히 다른 사람을 위해 고생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위초비위조 爲楚非爲趙 스스로 자신을 추천하거나 자진해 나서는 것을 말한다.
위편삼절 韋編三絶 가죽으로 맨 책 끈이 여러 차례 끊어지다. 독서에 힘쓰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위호작창 爲虎作倀 호랑이를 위해 창귀가 되다. 나쁜 사람의 앞잡이가 되어 나쁜 짓을 일삼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