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주 – 천으로 시작하는 고사성어


고사성어 한자 유의어
주경야송 晝耕夜誦 낮에는 밭 갈고 밤에는 책을 외우다. 어려운 여건에서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주공삼태 周公三笞 주공(周公)의 여러 차례의 매질. 자식 교육을 엄격하게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주관방화 州官放火 주의 관리가 불을 놓다. 관리나 상급자의 전횡을 비유하는 말이다.
주급불계부 周急不繼富 궁핍한 사람은 도와주고 부자에게는 보태 주지 않는다.
주낭반대 酒囊飯袋 밥 구덩이와 술 자루. 먹고 마실 줄만 알지 일할 줄은 모르는 쓸모없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주마간화 走馬看花 말을 타고 달리며 꽃을 보다. 원래는 일이 뜻대로 되어 마음이 즐겁다는 뜻이었는데, 후에는 자세히 살펴볼 틈이 없어 대강 훑어보고 지나가는 것을 비유하는 ‘주마간산(走馬看山)’과 같은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주마등 走馬燈 두 겹으로 된 틀의 안쪽에 갖가지 그림을 붙여 놓고 등을 켠 후 틀을 돌려 그림이 바깥쪽에 비치게 만든 등을 말한다. 여기에서 유래하여, ‘주마등’은 사물이 덧없이 빨리 변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된다.
주백약지장 酒百藥之長 술은 모든 약 가운데 으뜸이다.
주위상 走爲上 도망치는 것이 상책이다. 강한 적과 싸울 때에는 일단 퇴각하여 다시 공격할 기회를 기다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이는 결코 허물이 되지 않는다. 도주는 자주 사용되는 군사전략의 하나이다.
주유열국 周遊列國 열국을 주유하다.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다. 이리저리 소득 없이 돌아만 다니다.
주중적국 舟中敵國 배 안에 있는 사람들이 다 적이다. 친했던 사람들이 등을 돌리거나 측근들이 배반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주지육림 酒池肉林 술로 만든 못과 고기로 이룬 숲. 극히 호사스럽고 방탕한 술잔치를 비유하는 말이다.
죽두목설 竹頭木屑 대나무 조각과 톱밥. 쓸모가 없거나 하찮은 것도 모아 두면 후에 긴히 쓰일 수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죽림칠현 竹林七賢 대나무 수풀 속의 일곱 현인. 삼국시대의 위(魏)나라 말기 사마(司馬)씨 일족들이 국정을 장악하고 전횡을 일삼자 이에 등을 돌리고, 노장(老莊)의 무위자연 사상에 심취하여 당시 사회를 풍자하고 방관자적인 입장을 취했던 지식인들을 말한다.
죽마지우 竹馬之友 죽마(竹馬)를 타고 놀던 친구. 어릴 때부터 친하게 지내던 소꿉친구를 말한다.
준마매태치한주 駿馬每馱痴漢走 준마는 항상 어리석은 사람을 태우고 달린다. 세상사가 불공평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준조절충 樽俎折衝 술잔과 적대(炙臺, 고기 담는 그릇) 사이에서 적의 충차(衝車)를 꺾어 버리다. 무력을 사용하지 않고 술자리에서 외교 협상을 통해 적을 이기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능란한 외교술을 비유하는 말이다.
줄탁동시 啐啄同時 줄(啐)과 탁(啄)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병아리가 알에서 나오기 위해서는 새끼와 어미 닭이 안팎에서 서로 쪼아야 한다는 뜻으로, 가장 이상적인 사제지간을 비유하거나, 서로 합심하여 일이 잘 이루어지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중과부적 衆寡不敵 적은 무리로 많은 무리와 대적할 수 없다. 역량 차이가 커서 상대가 되지 못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중구난방 衆口難防 여러 사람의 입을 막기는 어렵다. 대중의 언로(言路)와 사상은 무엇으로도 막을 수 없다는 말이다.
중구삭금 衆口鑠金 여러 사람이 마음을 하나로 합쳐 단결하면 못할 일이 없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중노난범 衆怒難犯 많은 사람의 분노는 거스르기 어렵다.
중류격즙 中流擊楫 강 가운데서 노를 두드리다. 잃어버린 땅을 되찾고자 하는 굳은 결심, 또는 가슴에 품은 웅지를 비유하는 말이다.
중류지주 中流砥柱 (황하)중류의 지주산. 역경 속에서도 의연하게 버티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이나 그런 용기를 비유하는 말이다.
중석몰촉 中石沒鏃 사석음우(射石飮羽), 사석몰우(射石沒羽) 돌에 적중하여 화살이 깊이 박히다. 정신을 집중해서 전력을 다하면 어떤 일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중심성성 衆心成城 여러 사람의 마음이 성을 이룬다. 여러 사람이 마음을 하나로 합쳐 단결하면 못할 일이 없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중오필찰 중호필찰 衆惡必察衆好必察 여러 사람이 미워하더라도 반드시 살펴야 하고, 여러 사람이 좋아하더라도 반드시 살펴야 한다. 사람들의 말이나 소문만 믿고 단정하지 말고 직접 확인하고 판단하라는 말이다.
중원축록 中原逐鹿 중원에서 사슴을 쫓다. 제위(帝位)나 정권 따위를 얻으려고 다투는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중작풍부 重作馮婦 다시 풍부(馮婦)가 되다. 예전에 그만두었던 일을 다시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중족측목 重足側目 두 발을 겹쳐 모으고 곁눈질을 하다. 남의 위세에 눌려 몹시 두려워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중취독성 衆醉獨醒 모두 취했는데 홀로 깨어 있다.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불의와 부정을 저지르고 있는데 홀로 깨끗한 삶을 사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증삼살인 曾參殺人 증삼(曾參)이 사람을 죽이다. 헛소문도 여러 차례 반복되면 사실처럼 된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지강급미 舐糠及米 겨를 핥다가 쌀에까지 미치다(먹어치우다). 외부의 적이 마침내 내부마저 장악하게 되는 것을 비유하거나,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지록위마 指鹿爲馬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하다. 윗사람을 농락하고 함부로 권세를 부리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지만 持滿 가득하게 가지다. 큰일을 도모하기 위해 긴장을 풀지 않고 마음 가득 포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지사미타 至死靡他 남편을 일찍 여읜 아내가 재혼하지 않고 절개를 지키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지상담병 紙上談兵 종이 위에서만 병법을 말한다. 실제의 일에는 밝지 못하면서 탁상공론만 일삼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지상매괴 指桑罵槐 뽕나무를 가리키며 홰나무를 욕하다. 강대국이 약소국들을 다스리는 방법으로, 그중 한 나라만 혼을 내 주면 나머지 나라들은 저절로 복속하게 된다는 것.
지우책인명 至愚責人明 지극히 어리석은 사람도 남을 나무라는 데는 밝다. 자신의 허물은 덮어 두고 남의 탓만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지음 知音 자기를 알아주는 참다운 벗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지자국지본 地者國之本 땅은 나라의 근본이다.
지자막여부 知子莫如父 자식을 아는 데는 부모만한 사람이 없다. 자식에 대해서는 부모가 가장 잘 아는 법이라는 말이다.
지자불언 언자부지 知者不言言者不知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으며, 말하는 사람은 알지 못하는 사람이다.
지재사방 志在四方 뜻이 사방에 있다. 원대한 포부와 이상을 지니고 있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지치득거 舐痔得車 치질을 핥아 수레를 얻다. 아부를 하거나 천한 일을 하여 큰 이득을 얻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지피지기 知彼知己 상대를 알고 나를 알아야 한다. 상대편과 나의 약점과 강점을 충분히 알면 상대방과 싸워 이길 수 있다는 말이다.
직금회문 織錦回文 비단에 회문(回文)을 짜 넣다. 아내의 서신이나 여자들의 뛰어난 창작력 혹은 창의력을 비유하는 말이다. ‘회문’은 수사(修辭) 기법의 하나로, 앞에서부터 읽으나 끝에서부터 읽으나 다 뜻이 통하게 지어진 글을 말한다.
직정경행 直情徑行 감정이 내키는 대로 길을 가다. 상대의 생각이나 주위의 사정 등에 신경 쓰지 않고 자기 생각대로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진경고현 秦鏡高懸 진나라의 (밝은)거울이 높이 걸려 있다. 사리에 밝거나 판결이 공정한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진목열자 瞋目裂眦 눈을 부릅뜨고 찢어질 듯이 노려보다. 극도로 화가 난 모습을 비유하는 말이다.
진비일호 振臂一呼 팔을 휘두르며 크게 외치다. 사기를 진작시키기 위하여 분발하는 모습을 비유하는 말이다.
진선진미 盡善盡美 선을 다하고 아름다움을 다하다. 사물이 완전무결한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진인사대천명 盡人事待天命 진인사청천명(盡人事聽天命) 사람으로서 해야 할 일을 다 하고 나서 하늘의 뜻을 기다린다.
진정지곡 秦庭之哭 진(秦)나라의 궁정에서 곡(哭)을 하다. 남에게 간곡히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진진지호 秦晉之好 진(秦)나라와 진(晉)나라의 좋은 관계. 두 집안이 혼인으로 맺어지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진촌퇴척 進寸退尺 한 치를 나아가고 한 자를 물러난다. 얻는 것은 적고 잃는 것은 많은 경우를 비유하는 말이다.
진충보국 盡忠報國 충성을 다하여 나라의 은혜에 보답하다.
진화타겁 趁火打劫 불난 틈을 타 도둑질하는 계책. 적이 중대한 위기에 처해 있을 때 그 기회를 이용하여 적을 치는 계책이다.
질석성양 叱石成羊 돌을 꾸짖어 양을 만들다. 신기한 기술이나 괴이한 현상을 비유하는 말이다.
질풍경초 疾風勁草 모진 바람과 강한 풀. 모진 바람이 불면 강한 풀을 알 수 있다는 뜻으로, 역경을 겪어야 비로소 그 사람의 진가를 알 수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집사광익 集思廣益 생각을 모아 이익을 넓히다. 여러 사람의 지혜를 모으면 더 큰 효과와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집우이 執牛耳 소의 귀를 잡다. 동맹의 맹주가 된다는 뜻으로, 지도적 위치에 오르거나 실권을 장악하게 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징열갱이취회혜 懲熱羹而吹膾兮 뜨거운 국에 혼나 날고기를 입으로 불다. 큰일을 당한 사람은 작은 일에도 긴장하게 된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징전비후 懲前毖後 지난 일을 징계하여 뒷날의 근심을 피하다. 이전의 잘못을 교훈으로 삼아 앞으로 되풀이하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차도살인 借刀殺人 남의 칼을 빌려 사람을 죽이는 계책. 남의 힘을 빌려 적을 치면 자신의 힘을 쓰지 않고 일을 쉽게 도모할 수 있다. 내 칼에 피를 묻히지 않고 남의 칼에 피를 묻히는 고도의 전략이다.
차래지식 嗟來之食 “이봐.” 하며 불러서 주는 음식. 남을 업신여겨 무례한 태도로 주는 음식을 비유하는 말이다.
차시환혼 借屍還魂 시체를 빌려 혼이 되돌아오다. 죽은 사람의 영혼이 다른 사람의 시체를 빌려 부활하다. 이미 멸망한 것이 다른 형식을 빌려 살아나고, 힘을 얻고, 강해지는 계책을 말한다.
착금현주 捉襟見肘 옷깃을 여미면 팔꿈치가 드러난다. 생활이 곤궁한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착도 捉刀 위무착도(魏武捉刀) 칼을 잡다. 원래는 칼을 잡고 호위한다는 뜻이었는데, 후에 남의 손을 빌려 글을 쓰거나 남에게 대필시키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찰나 刹那 불교에서 말하는 시간의 최소 단위로, 지극히 짧은 시간을 말한다.
창업수성 創業守成 창업(創業)과 수성(守成). ‘창업’은 어떤 사업을 시작하는 것을 말하고, ‘수성’은 이루어 놓은 성과를 잘 지키는 것을 말한다.
창해상전 滄海桑田 세상이 몰라볼 정도로 바뀐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창해일속 滄海一粟 망망한 바다에 좁쌀 한 톨. 극히 하찮거나 미미한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채국동리하 유연견남산 采菊東籬下 悠然見南山 동쪽 울 밑에서 국화를 꺾어 들고 멀리 남산을 바라본다. 번잡한 세상을 피하여 숨어 사는 은자의 초연한 심경을 비유하는 말이다.
채대고축 債臺高築 빚의 누대를 높이 쌓다. 빚더미에 오른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채미가 采薇歌 고사리를 캐면서 부르는 노래. 절의지사(節義之士)의 노래를 이르는 말이다.
척구폐요 跖狗吠堯 걸왕(桀王)의 개는 요(堯)임금을 보고도 짖는다. 주인이 포악하면 그를 따르는 사람이나 동물도 덩달아 사나워진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개는 자기가 섬기는 주인에게만 충성을 다해야 한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척단촌장 尺短寸長 척유소단촌유소장(尺有所短寸有所長) 척(尺)도 짧은 데가 있고, 촌(寸)도 긴 데가 있다. 어떤 사물이든지 장점도 있고 단점도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척소 尺素 한 자 되는 비단 조각. 편지를 이르는 말이다.
척지금성 擲地金聲 척지작금석성(擲地作金石聲) 땅에 던지면 금석(종경(鐘磬) 류의 악기) 소리가 난다. 아름답고 뛰어난 문장을 비유하는 말이다.
척확지굴 이구신야 尺蠖之屈以求信也 자벌레가 몸을 구부리는 것은 그로써 펴는 것을 구하기 위해서이다.(다시 펴기 위함이다.) 미래의 성공을 위하여 현재의 굴욕이나 어려움을 참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천고마비 天高馬肥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찌다. 맑고 풍요로운 가을의 날씨를 비유하는 말이다.
천금매소 千金買笑 천금(千金)으로 웃음을 사다. 좋아하는 여자의 환심을 사기 위해 온갖 수단과 방법을 다 동원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천금지자 불사어시 千金之子不死於市 천금(千金)을 가진 집안의 자식은 저잣거리에서 죽지 않는다. 부잣집 자식은 죽을죄를 지었어도 저잣거리에서 사형을 당하지 않는다는 말로, 돈만 있으면 어떤 형벌도 피할 수 있다는 말이다.
천도시야비야 天道是耶非耶 천도(天道)는 (도대체) 옳은 것인가 그른 것인가?
천려일득 千慮一得 천 번 생각하면 한 가지라도 얻는다. 아무리 우둔한 사람이라도 깊고 세밀하게 생각하면 한 가지쯤은 좋은 생각을 해낼 수 있다는 말이다.
천리송아모 千里送鵝毛 천 리 길에 백조의 털을 보내다. 보잘것없지만 두터운 정성을 담고 있는 선물을 비유하는 말이다.
천리안 千里眼 천 리 밖을 볼 수 있는 눈. 세상사를 꿰뚫어 보거나 먼 곳에서 일어나는 일을 직감적으로 감지하는 능력을 말한다.
천리지행시어족하 千里之行始於足下 천 리 길도 발아래에서 시작된다. 모든 일은 기본적인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천망회회소이불실 天網恢恢疏而不失 하늘의 그물은 크고 넓어 엉성해 보이지만 놓치지 않는다.
천시지리인화 天時地利人和 하늘이 준 때, 지리상의 이로움, 사람의 화합. 하늘이 준 때는 지리상의 이로움만 못하고, 지리상의 이로움은 사람들 사이의 화합만 못하다는 뜻이다.
천양관슬 穿楊貫蝨 버드나무 잎을 맞히고 이를 꿰뚫다. 매우 뛰어난 활솜씨를 비유하는 말이다.
천여불취 반수기구 天與弗取反受其咎 하늘이 주는 것을 받지 않으면 도리어 그 허물을 받게 된다. 기회가 왔을 때 일을 성사시키지 못하면 도리어 그로 인해 화를 입거나 낭패를 보게 된다.
천의무봉 天衣無縫 하늘 선녀들의 옷은 꿰맨 자국이 없다. 시나 문장이 꾸밈없이 자연스럽게 잘된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천인지낙낙 불여일사지악악 千人之諾諾不如一士之諤諤 천 사람의 아첨하는 말이 한 사람의 바른말보다 못하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천장지구 天長地久 하늘만큼 길고 땅만큼 오래되다. 하늘과 땅이 존재했던 시간만큼 길고 오래되다. (애정이) 영원히 변치 않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천재일우 千載一遇 천 년에 한 번 오는 기회.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를 비유하는 말이다.
천지자만물지역려 天地者萬物之逆旅 천지는 만물이 잠시 쉬어 가는 여관이다.
천지현황 天地玄黃 하늘은 검고 땅은 누렇다. 우주 자연의 광활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천편일률 千篇一律 천 편이나 되는 글이 모두 한 가지 운율로 짜여 있다. 많은 문장이 기계적으로 중복되고 변화가 없는 것을 말한다.